2006-10-12
안녕하세요 호스트센터 보안팀입니다. 금번 10월 보안 업데이트를 요약정리해 드리오니 해당 시스템 운영하시는 고객분 께서는 반드시 아래내용을 숙지하시어 업데이트를 실시 하시기 바랍니다. 문의 : 02-6265-1108 담당자 : 김 봉기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[MS06-056] ASP.NET 취약점으로 인한 정보 노출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으로부터 정보 획득 □ 설명 o 공격자는 ASP.NET 이용자에 대해 악의적 스크립트를 실행하도록 유도하는 크로스사이트스크립팅 공격을 할 수 있음 ※ 크로스사이트스크립팅 : 웹 사이트에 로그인한 피해자가 해당 웹 사이트에 대한 권한으로, 공격자가 의도한 스크립트 코드를 실행하도록 유도하는 보안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.NET 2.0 Cross-Site Scripting Vulnerability - CVE-2006-3436 o 영향 : 정보 노출 o 중요도 : 중요 □ 해당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- .NET Framework 2.0 on Microsoft Windows 2000 SP4 - .NET Framework 2.0 on Microsoft Windows XP SP1, SP2 - .NET Framework 2.0 on Microsoft Windows XP Professional x64 Edition - .NET Framework 2.0 onMicrosoft Windows XP Tablet PC Edition - .NET Framework 2.0 on Microsoft Windows XP Media Center Edition - .NET Framework 2.0 on Microsoft Windows Server 2003, SP1 - .NET Framework 2.0 on Microsoft Windows Server 2003 for Itanium-based Systems, SP1 - .NET Framework 2.0 on Microsoft Windows Server 2003 x64 Edition o 영향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- .NET Framework 1.0, 1.1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□ 참조사이트 o 영문 : http://www.microsoft.com/technet/security/bulletin/MS06-056.mspx o 한글 : http://www.microsoft.com/korea/technet/security/bulletin/MS06-056.mspx [MS06-057] Windows Shell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실행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 □ 설명 o Windows Shell관련 ActiveX 컨트롤에 취약점이 존재 o 공격자는 악의적인 웹페이지를 구축하고 사용자가 방문하도록 유도하거나, 조작된 이메일을 전송하여 이메일을 열어보도록 유도함. 공격이 성공하면 공격자는 영향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 가능 o 관련취약점 : Windows Shell Remote Code Execution Vulnerability - CVE-2006-3730 o 영향 : 원격 코드 실행 o 중요도 : 긴급 □ 해당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- Microsoft Windows 2000 SP4 - Microsoft Windows XP SP1, SP2 - Microsoft Windows XP Professional x64 Edition - Microsoft Windows Server 2003, SP1 - Microsoft Windows Server 2003, SP1 for Itanium-based Systems - Microsoft Windows Server 2003 x64 Edition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□ 참조사이트 o 영문 : http://www.microsoft.com/technet/security/bulletin/MS06-057.mspx o 한글 : http://www.microsoft.com/korea/technet/security/bulletin/MS06-057.mspx [MS06-058] MS PowerPoint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실행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 □ 설명 o 조작된 MS PowerPoint 파일을 이용하여 취약점을 악용 가능 o 공격자는 악의적인 웹페이지를 구축하고 사용자가 방문하도록 유도하거나, 조작된 이메일을 전송하여 이메일을 열어보도록 유도함. 공격이 성공하면 공격자는 영향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 가능 o 관련취약점 - PowerPoint Malformed Object Pointer Vulnerability - CVE-2006-3435 - PowerPoint Malformed Data Record Vulnerability - CVE-2006-3876 - PowerPoint Malformed Record Memory Corruption Vulnerability - CVE-2006-3877 - PowerPoint Malformed Record Vulnerability - CVE-2006-4694 o 영향 : 원격 코드 실행 o 중요도 : 긴급 □ 해당시스템 o 영향받는 소프트웨어 - Microsoft PowerPoint 2000 on Office 2000 SP3 - Microsoft PowerPoint 2002 on Office XP SP3 - Microsoft PowerPoint 2003 on Office 2003 SP1,SP2 - Microsoft PowerPoint 2004 for Mac on Office 2004 for Mac - Microsoft PowerPoint v. X for Mac on Office v. X for Mac o 영향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- Microsoft PowerPoint 2003 Viewer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□ 참조사이트 o 영문 : http://www.microsoft.com/technet/security/bulletin/MS06-058.mspx o 한글 : http://www.microsoft.com/korea/technet/security/bulletin/MS06-058.mspx [MS06-059] MS Excel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실행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 □ 설명 o 조작된 MS Excel 파일을 이용하여 취약점을 악용 가능 o 공격자는 악의적인 웹 페이지를 구축하고 사용자가 방문하도록 유도하거나, 조작된 이메일을 전송하여 이메일을 열어보도록 유도함. 공격이 성공하면 공격자는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 가능 o 관련취약점 - Excel Malformed DATETIME Record Vulnerability - CVE-2006-2387 - Excel Malformed STYLE Record Vulnerability - CVE-2006-3431 - Excel Handling of Lotus 1-2-3 File Vulnerability - CVE-2006-3867 - Excel Malformed COLINFO Record Vulnerability - CVE-2006-3875 o 영향 : 원격 코드 실행 o 중요도 : 긴급 □ 해당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- Microsoft Excel 2000 on Office 2000 SP3 - Microsoft Excel 2002 on Office XP SP3 - Microsoft Excel 2003, Viewer 2003 on Office 2003 SP1,SP2 - Microsoft Excel 2004 for Mac - Microsoft Excel v. X for Mac - Microsoft Works Suite 2004, 2005, 2006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□ 참조사이트 o 영문 : http://www.microsoft.com/technet/security/bulletin/MS06-059.mspx o 한글 : http://www.microsoft.com/korea/technet/security/bulletin/MS06-059.mspx [MS06-060] MS Word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실행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 □ 설명 o 조작된 MS Word 파일을 이용하여 취약점을 악용 가능 o 공격자는 악의적인 웹페이지를 구축하고 사용자가 방문하도록 유도하거나, 조작된 이메일을 전송하여 이메일을 열어보도록 유도함. 공격이 성공하면 공격자는 영향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 가능 o 관련취약점 - Microsoft Word Vulnerability - CVE-2006-3647 - Microsoft Word Mail Merge Vulnerability - CVE-2006-3651 - Microsoft Word Malformed Stack Vulnerability - CVE-2006-4534 - Microsoft Word for Mac Vulnerability - CVE-2006-4693 o 영향 : 원격 코드 실행 o 중요도 : 긴급 □ 해당시스템 o 영향받는 소프트웨어 - Microsoft Word 2000 on Office 2000 SP3 - Microsoft Word 2002 on Office XP SP3 - Microsoft Word 2003, Viewer 2003 on Office 2003 SP1,SP2 - Microsoft Works Suites 2004, 2005, 2006 - Microsoft Word 2004 for Mac - Microsoft Word v. X for Mac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□ 참조사이트 o 영문 : http://www.microsoft.com/technet/security/bulletin/MS06-060.mspx o 한글 : http://www.microsoft.com/korea/technet/security/bulletin/MS06-060.mspx [MS06-061] MSXML(XML Core Service)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실행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 □ 설명 o XML Core Service에서 임의명령실행이 가능한 취약점이 존재 o 공격자는 XMLHTTP ActiveX 컨트롤의 취약점을 이용함. 공격이 성공하면 공격자는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한 완전한 권한 획득 가능 (CVE-2006-4685) o 공격자는 MSXML XSLT의 버퍼오버플로우 취약점을 이용함. 공격당한 시스템에서 XSLT 취약점을 이용하여 원격코드를 실행할 수 있음.(CVE-2006-4686) ※ XSLT(Extensible Stylesheet Language Transformations) : XML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재사용되기 위한 내용을 추출하는데 사용 o 관련취약점 : - Microsoft XML Core Servicess Vulnerability - CVE-2006-4685 - XSLT Buffer Overrrun Vulnerability - CVE-2006-4686 o 영향 : 원격 코드 실행 o 중요도 : 긴급 □ 해당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- XML Parser 2.6 and XML Core Services 3.0 on Microsoft Windows 2000 SP4 - XML Parser 2.6 and XML Core Services 3.0 on Microsoft Windows XP SP1,SP2 - XML Parser 2.6 and XML Core Services 3.0 on Microsoft Windows XP Professional x64 Edition - XML Parser 2.6 and XML Core Services 3.0 on Microsoft Windows Server 2003, SP1 - XML Parser 2.6 and XML Core Services 3.0 on Microsoft Windows Server 2003, SP1 for Itanium-based Systems - XML Parser 2.6 and XML Core Services 3.0 on Microsoft Windows Server 2003 x64 Edition - XML Core Services 5.0 SP1 with Microsoft Office SP1, SP2 o 영향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- XML Core Services 2.5 on Microsoft Windows 2000 SP4 - XML Core Services 2.5 on Microsoft Windows XP SP1, SP2 - XML Core Services 2.5 on Microsoft Windows 2003 - XML Core Services 2.5 on Microsoft Windows 2003 SP1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□ 참조사이트 o 영문 : http://www.microsoft.com/technet/security/bulletin/MS06-061.mspx o 한글 : http://www.microsoft.com/korea/technet/security/bulletin/MS06-061.mspx [MS06-062] MS Office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실행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 □ 설명 o MS Office에서 원격 코드 실행이 가능한 취약점이 존재 o 조작된 문자열, 차트, 레코드, 스마트태그 등을 포함한 MS Office 파일을 처리할 때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 발생함. 공격이 성공하면 공격자는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. (CVE-2006-3434, CVE-2006-3650, CVE-2006-3864, CVE-2006-3868) o 관련취약점 : - Office Improper Memory Access Vulnerability - CVE-2006-3434 - Office Malformed Chart Record Vulnerability - CVE-2006-3650 - Office Malformed Record Memory Corruption Vulnerability - CVE-2006-3864 - Microsoft Office Smart Tag Parsing Vulnerability - CVE-2006-3868 o 영향 : 원격 코드 실행 o 중요도 : 긴급 □ 해당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- Microsoft Office 2000 SP3 - Microsoft Office XP SP3 - Microsoft Office 2003 SP1, SP2 - Microsoft Project 2000 Service Release 1 - Microsoft Project 2002 SP1 - Microsoft Visio 2002 SP2 - Microsoft Office 2004 for Mac - Microsoft Office v. X for Mac o 영향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- Microsoft PowerPoint 2003 Viewer - Microsoft Works Suites 2004, 2005, 2006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□ 참조사이트 o 영문 : http://www.microsoft.com/technet/security/bulletin/MS06-062.mspx o 한글 : http://www.microsoft.com/korea/technet/security/bulletin/MS06-062.mspx [MS06-063] Server Service 취약점으로 인한 서비스 거부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받는 시스템에 대해 정상적인 동작을 방해할 수 있음 □ 설명 o Server Service에서 서비스 거부 공격이 가능한 취약점이 존재 ※ Server Service : Windows 운영체제에서 파일, 폴더 및 주변장치 등을 공유하기 위해 지원하는 기능 o 공격자는 Server Service에 조작된 메시지를 전송하여 공격함. 공격이 성공하면 공격받은 시스템은 응답을 처리할 수 없게 됨 o 관련취약점 - Server Service Denial of Service Vulnerability - CVE-2006-3942 - SMB Rename Vulnerability - CVE-2006-4696 o 영향 : 서비스 거부 공격 o 중요도 : 중요 □ 해당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- Microsoft Windows 2000 SP4 - Microsoft Windows XP SP1, SP2 - Microsoft Windows XP Professional x64 Edition - Microsoft Windows Server 2003, SP1 - Microsoft Windows Server 2003, SP1 for Itanium-based Systems - Microsoft Windows Server 2003 x64 Edition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□ 참조사이트 o 영문 : http://www.microsoft.com/technet/security/bulletin/MS06-063.mspx o 한글 : http://www.microsoft.com/korea/technet/security/bulletin/MS06-063.mspx [MS06-064] TCP/IP IPv6 취약점으로 인한 서비스 거부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받는 시스템에 대해 정상적인 동작을 방해할 수 있음 □ 설명 o 공격자는 IPv6 기반의 ICMP, TCP 프로토콜에 존재하는 취약점을 이용하여 공격. 공격이 성공하면 취약한 시스템의 모든 TCP 연결이 끊어짐.(CVE-2006-0790, CVE-2006-0230) o 공격자는 IPv6 기반의 TCP/IP 프로토콜에 존재하는 취약점을 이용하여 공격. 공격이 성공하면 영향 받는 시스템은 응답을 중지하게 됨.(CVE-2006-0688) o 관련취약점 : - ICMP Connection Reset Vulnerability - CVE-2006-0790 - TCP Connection Reset Vulnerability - CVE-2006-0230 - Spoofed Connection Request Vulnerability - CVE-2006-0688 o 영향 : 서비스 거부 공격 o 중요도 : 낮음 □ 해당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- Microsoft Windows XP SP1, SP2 - Microsoft Windows XP Professional x64 Edition - Microsoft Windows Server 2003, SP1 - Microsoft Windows Server 2003, SP1 for Itanium-based Systems - Microsoft Windows Server 2003 x64 Edition o 영향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- Microsoft Windows 2000 SP4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□ 참조사이트 o 영문 : http://www.microsoft.com/technet/security/bulletin/MS06-064.mspx o 한글 : http://www.microsoft.com/korea/technet/security/bulletin/MS06-064.mspx [MS06-065] Windows Object Packager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실행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 □ 설명 o Windows Object Packager에 취약점이 존재 o 공격자는 Object Packager의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을 이용하여 공격함. 공격이 성공하면 공격자는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.(CVE-2006-4692) o 관련취약점 : Object Packager Dialogue Spoofing Vulnerability - CVE-2006-4692 o 영향 : 원격 코드 실행 o 중요도 : 보통 □ 해당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- Microsoft Windows XP SP1, SP2 - Microsoft Windows XP Professional x64 Edition - Microsoft Windows Server 2003, SP1 - Microsoft Windows Server 2003, SP1 for Itanium-based Systems - Microsoft Windows Server 2003 x64 Edition o 영향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- Microsoft Windows 2000 SP4 □ 해결책 o 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 □ 참조사이트 o 영문 : http://www.microsoft.com/technet/security/bulletin/MS06-065.mspx o 한글 : http://www.microsoft.com/korea/technet/security/bulletin/MS06-065.mspx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참조 : 인터넷침해사고대응센터